본문 바로가기

git

[git] 소스트리 사용법(git init, remote, add, push)

기존에 터미널에서 깃을 만들고 깃허브에 푸쉬하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폴더를 지정한다.
2.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하여 .git 폴더를 생성한다.
3. 깃허브에서 레포지토리를 생성한다.
4.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주소" 를 통해 연결해준다. (큰따옴표 제외)
5. git add . (스테이지에 파일 추가)
6. git commit -m "메세지" (커밋)
7. git push origin master (깃허브에 푸쉬)

터미널에서는 명령어를 타이핑 하여 작업을 수행했지만,

소스트리에서는 마우스 클릭을 통해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새로 만들기 클릭 - 로컬 저장소 추가하기

경로 설정 (예시의 경우 stest 폴더)

생성하기클릭

 

여기까지가 터미널 기준 1~2번 작업을 진행한 것이다.

3번 레포지토리 추가는 깃허브에서 동일하게 진행하고 나서

생성된 항목을 더블클릭 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열린다. (예시의 경우 stree)

우측 상단의 설정을 클릭후

원격 탭으로 이동 - 좌측 하단에 추가 버튼 클릭

원격이름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origin

URL / 경로에는 깃허브 레포지토리 주소를 복사-붙여넣기 한다.

(터미널 기준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주소")

좌측 파일상태 탭을 누르면 파일 상태를 볼 수 있는데

하단에서 전체선택을 누르면 변경사항이 있는 모든 파일들이 스테이지로 올라간다.

(터미널 기준 git add .)

하단에 메세지를 작성하고 커밋 버튼을 클릭하면 커밋이 완료된다.

(터미널 기준 git commit -m "메세지")

이후 상단에 푸쉬 탭을 클릭하고 모두선택 확인을 누르면 깃허브에 업로드가 완료된다.

(터미널 기준 git push origin master)